대학소식

광복 80주년...일제강점기 한국 가곡과 항일노래 다시 울린다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오는 12월19일까지 특별전 열어
고종 '누비저고리', 순종어필 옥류천상화첩, 홍난파 바이올린 등 전시
항일노래 600곡 음원 공개...SP판 원음 감상 기회 제공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한국 가곡을 들으셔' 포스터./사진제공=단국대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 '한국 가곡을 들으셔' 포스터./사진제공=단국대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이하 박물관)이 오는 12월19일까지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일제강점기 한국 가곡을 조명하는 특별전 '한국 가곡을 들으셔'를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관람객들은 1920~1940년대 한국 가곡의 태동과 발전을 이끈 음악가들의 자료는 물론 원음이 녹음된 레코드(SP판)를 감상할 수 있다.

박물관 관계자는 "한국 가곡은 1920년대 한국 시에 곡을 붙여 예술성을 높인 장르"라며 "성악 가곡뿐만 아니라 동요, 신민요, 대중가요까지 포괄한다. 근대 제국주의 강압 속에서 민족적 정체성과 삶의 힘을 불어넣는 매개체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고종은 '아리랑 타령'을, 순종은 '조선판소리'를 들으며 위안을 얻었다. 독립운동가, 국민에게 가곡은 위로와 희망의 노래였다"고 덧붙였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종이 평상복으로 착용한 '누비저고리'(국가민속문화유산) △1908년 순종이 신료들과 함께 지은 시를 모은 '순종어필 옥류천상화첩' △일제강점기 금서로 지정된 사공수의 '한양가' 필사본 △홍난파가 작곡한 동요 동판(국가등록문화유산) △홍난파의 바이올린과 유성기 등을 선보인다. 또 동양학연구원이 발간한 '다시 부르는 독립의 함성, 항일노래 600곡'(2022)의 음원도 공개한다.

박성순 박물관장은 "일제강점기 가곡은 국권 침탈의 시대 속에서 민족적 감성과 시대적 감성이 결합한 노래다. 비판적 성찰과 탈식민성이 드러난다"며 "이번 특별전은 한국 근대사의 아픔과 저항 그리고 민족적 자긍심을 되새기는 의미 있는 전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특별전은 경기도와 용인시가 추진하는 '2025년 박물관·미술관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기획됐다. 관람은 무료며, 토·일요일과 공휴일은 휴관한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박물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트위터
목록

많이 본 뉴스